본문 바로가기

숏폼7

2025년 8월 - 시청자 입맛 맞춰 변화하는 OTT...숏드라마, 요일별 미드폼까지 2025년 8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월간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티빙은 숏폼, 디즈니플러스는 미드폼 도입...포맷 다양화 나선 OTTOTT 업계 최초로 숏폼 탭을 도입했던 티빙이 이번에는 숏폼 오리지널 드라마 '티빙 숏 오리지널'을 선보였습니다. 직접 기획·제작한 1~2분 분량의 숏폼 드라마를 독점 공개할 예정인데요. 8월 4일, 18일에 걸쳐 총 4편의 숏드라마를 순차 공개하고, 2025년 연말까지 총 19편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외부 제작사 협업해 다양한 숏드라마를 수급해 이용자 유입 확대에 나설 전망입니다. 이미 폭스미디어의 ‘탑릴스’, 스푼랩스의 ‘비글루’, 왓챠의 ‘숏차’ 등 숏폼 전용 플랫폼이 속속 등장상 상황에서, 후발주자인 티빙이 어떤 .. 2025. 8. 28.
2025년 8월 - 애니메이션도 숏폼으로 즐기는 시대...네이버웹툰, 숏폼 애니메이션 서비스 '컷츠' 출시 예정 2025년 8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월간 디지털 미디어와 시장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네이버웹툰, 웹툰앱 최초 숏폼 애니메이션 서비스 도입1020세대를 중심으로 숏폼 소비 트렌드가 활발합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숏폼을 매일 시청하는 세대는 10대가 40.5%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는 50대의 22.8%와 비교했을 때 약 2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또한 10대들은 애니메이션도 숏폼으로 소비하고 있는데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4 애니메이션 이용자 조사' 결과, 주 1회 이상 애니메이션을 시청하는 10대 비율은 78.1%이며, 시청 경로는 OTT에 이어 유튜브 및 틱톡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네이버웹툰은 이러한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오는 9월 숏폼 애.. 2025. 8. 28.
2025년 5월 - 틱톡 '캡컷' 대항마의 등장? 메타, 숏폼 동영상 편집 앱 '에디츠' 출시 2025년 5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월간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네이버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광고 및 커머스 동반 성장네이버가 또다시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2025년 1분기 매출은 2조 7,868억 원(YoY +10.3%), 영업이익은 5,053억 원(YoY +15%)으로 광고와 커머스 부문 모두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습니다.서치플랫폼 부문 매출은 1조 1,012억 원으로, 검색 광고가 전년 대비 +8.2%, 디스플레이 광고가 +7.3% 성장했습니다. 이는 확장검색 등 상품 개선과 피드 지면 확대, 타깃팅 고도화의 효과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 8,788억 원, 거래액 12.8조 원을 기록했으며, 네이버플러스 스토.. 2025. 8. 26.
숏폼, 일상과 세대를 장악하다 일상 속 짧게⏱️ 자주 보는👁️ 숏폼, 동영상 주류 콘텐츠로 자리잡다 짧고 빠르게 소비할 수 있는 숏폼이 주류 콘텐츠로 자리잡았습니다. 실제로 한국인 1인당 숏폼 사용 시간은 OTT보다 약 7배나 많다고 하는데요. 와이즈앱·리테일 조사에 따르면 2월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같은 숏폼 앱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이 48시간을 훌쩍 넘는다고 합니다. 반면 넷플릭스나 티빙 등 OTT 사용시간은 7시간 14분에 그쳤다고 하는데요. OTT 콘텐츠는 한번 실행하면 길게 시청하는 행태에 반해 숏폼 콘텐츠는 일상생활 속 자주, 짧게 시청하는 상반된 행태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숏폼의 인기에 숏폼 플랫폼인 인스타그램과 틱톡의 국내 사용자 수도 지속 성장세를 보이는데요. 월 평균 사용 시간은 인스타그램이 우세하며 1회 .. 2025. 8. 26.
2025년 4월 - 네이버 AI 기반 요약 검색 ‘AI 브리핑’ 도입, 구글 AI 개요와 다른 점은? 2025년 4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월간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네이버, AI 기반 요약 검색 'AI 브리핑' 도입... 구글과 경쟁 시작네이버가 검색 서비스에 AI를 본격 도입했습니다. 2025년 3월 27일, 검색 결과와 함께 요약된 답변을 제공하는 ‘AI 브리핑’을 선보인 것인데요. AI 브리핑은 생성형 AI와 개인화 추천 기술을 결합해 쇼핑, 플레이스, 숏폼 등 다양한 영역에 최적화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유사한 서비스로 2024년 12월 국내에 출시된 구글의 ‘AI 개요’가 있습니다. 구글이 정보성 콘텐츠 요약에 강점을 가진 반면, 네이버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를 기반으로 한 생활밀착형 검색에 집중하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번 AI 브리.. 2025. 8. 26.
2025년 1월 - 인스타그램 '10대 계정' 한국 도입 외 2025년 1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월간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네이버 검색은 이제 '발견형 공간'으로 진화 중!요즘 네이버 검색창이 조금 달라졌다고 느끼셨나요? PC와 모바일 검색 탭 상단에 '숏텐츠'라는 새 기능이 생겼습니다. '숏텐츠'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주제별로 인기 있는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여, 요약된 정보를 제공하는 숏폼형 검색 콘텐츠 서비스인데요. 2024년 9월 모바일에 처음 도입된 후, 지난 12월 PC에도 확대 적용됐어요. 출시 초기에는 특정 검색어에만 숏텐츠가 피드 중간에 노출됐지만, 이번 업데이트로 숏텐츠가 아예 별도의 탭으로 신설되며 접근성이 크게 높아졌어요. 네이버는 숏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를 더 쉽게 '발견'하고, 검색창에서 머무는 시간.. 2025. 7. 15.
'유튜브화' 되는 네이버TV, 클립 띄우기 본격화하는 네이버 '유튜브화'되는 네이버TV? 네이버가 네이버TV 손보는 이유는네이버가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네이버TV'의 채널 개설 조건을 없애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엔 네이버TV에는 콘텐츠를 아무나 업로드할 순 없었어요. 채널을 개설하려면 유튜브, 블로그 등 타 플랫폼에서 100명 이상의 구독자/팬을 보유하고 있어야 했죠. 하지만 올해 3분기 부터는 이러한 조건이 사라질 예정입니다. 네이버가 네이버TV를 손보는 이유는 네이버의 숏폼, '클립' 때문이에요. 네이버TV에는 지상파나 종편 방송 하이라이트 영상이 주로 업로드되고 있었는데요. 채널 개설 제한이 있다 보니 유튜브나 틱톡 같은 경쟁 플랫폼에 비해 진입 장벽이 높아 창작자 확보가 어려웠습니다. 그러던 중 네이버가 숏폼 서비스 '클립'을 출시하면서 이러한 .. 2025.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