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월간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네이버, AI 기반 요약 검색 'AI 브리핑' 도입... 구글과 경쟁 시작
네이버가 검색 서비스에 AI를 본격 도입했습니다. 2025년 3월 27일, 검색 결과와 함께 요약된 답변을 제공하는 ‘AI 브리핑’을 선보인 것인데요. AI 브리핑은 생성형 AI와 개인화 추천 기술을 결합해 쇼핑, 플레이스, 숏폼 등 다양한 영역에 최적화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유사한 서비스로 2024년 12월 국내에 출시된 구글의 ‘AI 개요’가 있습니다. 구글이 정보성 콘텐츠 요약에 강점을 가진 반면, 네이버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를 기반으로 한 생활밀착형 검색에 집중하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번 AI 브리핑 도입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AI 검색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달에 48시간을 숏폼에 투자 중! 이에 따른 숏폼 플랫폼의 변화
영상 소비 방식이 짧고 직관적인 형태로 변화하면서 숏폼은 주요 시청 포맷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와이즈앱·리테일 자료에 따르면 숏폼 앱의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8시간을 넘어섰습니다. 틱톡과 인스타그램은 2025년 2월 기준 이용자 수가 각각 전년 대비 32%, 9% 성장하며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습니다. 또한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사에서는 Z세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숏폼 플랫폼으로 유튜브 쇼츠(57.4%)가 1위를 차지하였으며, 이어 인스타그램 릴스(29.2%), 틱톡(10.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숏폼 이용이 확산되면서 각 플랫폼도 정책과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쇼츠 조회수 산정 방식을 개편해 크리에이터의 수익화를 보다 용이하게 했고, 인스타그램은 릴스 2배속 시청 기능을 도입해 빠른 소비를 원하는 이용자 니즈를 반영했습니다. 틱톡은 '세이프티 페어링' 기능을 업데이트하여 청소년들이 더욱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짧고 주목도 높은 영상의 성장세 속에서 플랫폼들은 크리에이터의 수익화 기회를 확대하는 동시에 이용 편의 기능 강화에도 힘을 쏟고 있는 모습입니다.
원문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2025년 4월 디지털 미디어 및 마케팅 이슈 | 케이티 나스미디어 - kt nasmedia
네이버 AI 기반 요약 검색 ‘AI 브리핑’ 도입, 구글과 경쟁, 숏폼 이용 편의성 증대를 위한 숏폼 플랫폼별 경쟁 심화,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 출시 멀티모달 AI 부상 , C커머스 플랫폼 전략 변화
www.nasmedia.co.kr
*2025년 4월에 작성된 글입니다.
'디지털 미디어 이슈 > 미디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 영향력 확대하는 유튜브 쇼핑, 올리브영과 지그재그도 손잡았다 (0) | 2025.08.27 |
---|---|
2025년 5월 - 틱톡 '캡컷' 대항마의 등장? 메타, 숏폼 동영상 편집 앱 '에디츠' 출시 (2) | 2025.08.26 |
2025년 3월 - 쿠팡플레이, OTT 광고 시장 진출! 첫 광고 상품은 '스포츠 중계 광고' (0) | 2025.08.21 |
2025년 2월 - OTT도 이제 '본방 사수'? 넷플릭스의 일일 예능 실험 시작됐다 (0) | 2025.08.14 |
2025년 1월 - 인스타그램 '10대 계정' 한국 도입 외 (3)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