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월간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4분기 호실적 기록한 네이버, 연매출 첫 10억 돌파
네이버는 2024년 4분기 매출 2조 8,856억원(전년 대비 +13.7%), 영업이익 5,420억원(+33.7%)을 기록하며 분기와 연간 모두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코어 사업인 서치플랫폼과 커머스 부문이 각각 1조 647억원(+14.7%)과 7,751억원(+17.4%)의 실적을 견인하며, 플랫폼 경쟁력과 광고 효율성이 실적 성장의 핵심 요소로 작용했어요.
연간 매출은 10조 7,377억 원으로 국내 인터넷 기업 최초 10조 원을 넘어섰는데요. 서치플랫폼·커머스·핀테크·콘텐츠·클라우드 등 5대 사업 전반이 고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2025년, 네이버는 서비스 전반에 걸쳐 '온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을 본격적으로 구현할 계획인데요. 이 전략은 AI 기술을 검색·커머스·콘텐츠 전 분야에 적용해 사용자 경험을 개인화하고,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에 따라 2025년 상반기에는 'AI 브리핑'과 광고 집행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애드부스트를 도입할 예정임을 밝혔습니다.
카카오 4분기 실적은 주춤, 연간 성장은 견조
카카오는 2024년 4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 9,591억 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2%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067억 원으로 33.7% 감소했는데요. 다만, 영업이익은 '티메프 사태'로 발생한 일회성 대손상각비(회수하지 못한 외상 금액) 영향이 있었는데요. 이를 제외한 조정 영업이익은 1,382억 원으로 실제 기반 수익성은 선방했다는 평가입니다.
조금 주춤했던 4분기 실적이었지만, 연간 실적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2024년 전체 매출은 전 년 대비 4.2% 상승한 7조 8,738억 원, 영업이익은 6.6% 증가한 4,915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4분기 사업 부문별로는 '플랫폼' 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는데요. 플랫폼 매출은 전년 대비해서 10% 증가한 1조 491억 원으로 집계됐으며, 톡비즈(광고형)가 5%, 커머스가 4% 성장했습니다. 플랫폼 기타(모빌리티·페이 등)는 22% 늘어 고른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콘텐츠 부문은 다소 부진했는데요. 4분기 콘텐츠 매출은 9,10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으며, 미디어(-25%), 뮤직(-6%), 스토리(-5%) 모두 역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올해 카카오는 ‘카카오톡’ 중심의 B2C AI 서비스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에요. 상반기, 카카오톡 채널 형태의 AI 메이트를 출시하고, 오픈AI와 협력한 AI 기반 기능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입니다.
넷플릭스, 2025년 작품 라인업 대공개! 키워드는 '장르 다양성'
넷플릭스는 지난 2월 4일 개최한 '넥스트 온 넷플릭스 2025 코리아' 행사에서 2025년의 콘텐츠 전략과 주요 라인업을 발표했습니다. 넷플릭스는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콘텐츠 다양성을 강조하며, 드라마·영화·예능·다큐멘터리 등 총 40편 이상의 한국 작품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특히 글로벌 흥행작으로 자리 잡은 <오징어게임 시즌 3>, <흑백요리사 시즌 2> 등 파급력이 큰 시리즈를 비롯해 다양한 오리지널 신작이 라인업에 포함되어 많은 이들의 기대감을 높였죠.
2025년 공개 예정작은 영화, 애니메이션, 재난·범죄물 등 장르적 스펙트럼을 넓히고, 예능 부문에서도 매주 신작을 공개해 꾸준히 이용자를 붙잡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주관식당>, <도라이버> 등 요일별 정규 예능 편성을 통해 이용자들의 일상적인 시청을 유도하려는 전략인데요. 콘셉트에 충실하고 장르적 재미가 강했던 기존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과는 다소 다르게, 일일 예능의 경우 짧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일상적인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점도 눈에 띕니다. 이번 변화는 방송사가 주도해 온 일상 예능 프로그램의 영역에 OTT가 진출한 셈인데요. 매주 정해진 요일과 시간에 새로운 에피소드를 공개하는 기존 방송사 예능 방식을 차용함으로써 플랫폼의 콘텐츠 공개 방식에서도 그 경계가 사라지는 모습입니다.
넷플릭스는 이외에 나영석 PD와의 협업을 비롯해 <피지컬:아시아>, <데블스 플랜 2> 등 인기 예능 후속작도 제작에 들어갑니다. 넷플릭스는 이를 통해 한국 시장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콘텐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이용자 충성도를 높여 나가려는 전략입니다.
원문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2025년 2월 디지털 미디어 및 마케팅 이슈 | 케이티 나스미디어 - kt nasmedia
네이버 2024년 4분기 실적발표, 카카오 2024년 4분기 실적발표, 넷플릭스 2025년 콘텐츠 라인업 공개, 글로벌 팬덤 플랫폼 성장성 주목, 배달앱 구독 서비스 경쟁 본격화
www.nasmedia.co.kr
*2025년 2월에 작성된 글입니다.
'디지털 미디어 이슈 > 미디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 영향력 확대하는 유튜브 쇼핑, 올리브영과 지그재그도 손잡았다 (0) | 2025.08.27 |
---|---|
2025년 5월 - 틱톡 '캡컷' 대항마의 등장? 메타, 숏폼 동영상 편집 앱 '에디츠' 출시 (2) | 2025.08.26 |
2025년 4월 - 네이버 AI 기반 요약 검색 ‘AI 브리핑’ 도입, 구글 AI 개요와 다른 점은? (1) | 2025.08.26 |
2025년 3월 - 쿠팡플레이, OTT 광고 시장 진출! 첫 광고 상품은 '스포츠 중계 광고' (0) | 2025.08.21 |
2025년 1월 - 인스타그램 '10대 계정' 한국 도입 외 (3)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