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미디어 이슈/미디어 이슈

2025년 8월 - 시청자 입맛 맞춰 변화하는 OTT...숏드라마, 요일별 미드폼까지

2025. 8. 28.

OTT콘텐츠트렌드


2025년 8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월간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티빙은 숏폼, 디즈니플러스는 미드폼 도입...포맷 다양화 나선 OTT

티빙숏드라마

OTT 업계 최초로 숏폼 탭을 도입했던 티빙이 이번에는 숏폼 오리지널 드라마 '티빙 숏 오리지널'을 선보였습니다. 직접 기획·제작한 1~2분 분량의 숏폼 드라마를 독점 공개할 예정인데요. 8월 4일, 18일에 걸쳐 총 4편의 숏드라마를 순차 공개하고, 2025년 연말까지 총 19편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외부 제작사 협업해 다양한 숏드라마를 수급해 이용자 유입 확대에 나설 전망입니다. 이미 폭스미디어의 ‘탑릴스’, 스푼랩스의 ‘비글루’, 왓챠의 ‘숏차’ 등 숏폼 전용 플랫폼이 속속 등장상 상황에서, 후발주자인 티빙이 어떤 성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디즈니플러스미드폼

반면 디즈니플러스는 '미드폼'에 도전했습니다. 오는 8월 22일 금요일부터 주 5일 편성의 예능 시리즈 ‘주간오락장’을 론칭해, 회당 25~30분 분량의 프로그램을 매주 금요일부터 화요일까지 오전 8시에 공개합니다. 숏폼과 롱폼 사이 ‘틈새 구간’을 공략해 시청자 체류 시간을 늘리는 전략으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8개국에서 동시 서비스되며 글로벌 확산도 노리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미드폼

한편 넷플릭스는 지난 2025년 2월 OTT 중 가장 처음으로 요일별 미드폼 예능을 도입했습니다. KBS 인기 예능 '홍김동전'을 부활시키며 큰 환호를 받았었는데요. 최근 6월에 1차적으로 라인업을 재정비했습니다. 기존에 토·일···목 주 5일 체제에서 토···목 주 4일 편성으로 조정하며, '주관식당' '동미새'는 마무리하고, 장도연의 여행 예능 '장도바리바리'를 새롭게 추가하였습니다.

결국 OTT사들의 공통된 움직임은 변화하는 시청 패턴에 발맞춘 포맷 다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숏폼·미드폼을 둘러싼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후 OTT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네이버 2025년 2분기 매출 3조원 육박, 하반기 AI 경쟁력 강화

네이버2분기실적

네이버가 2025년 2분기 매출 2조 9,151억 원, 영업이익 5,216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7%, 10.3% 성장했습니다. 검색과 콘텐츠, 광고에 AI를 접목하며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과를 입증했습니다. 네이버는 2025년 2분기 부터 광고 매출을 구분하지않고, '전체 네이버 플랫폼 광고 매출'로 네이버의 모든 광고 매출을 통합해 발표하는 것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변경 기준에 따라 네이버 광고 매출은 전년 대비 8.7% 성장하였는데요. 이중 4% 성장세는 애드부스트와 같은 AI 기술에 따른 효과라고 발표하였습니다.

네이버피드화

또한, 네이버는 2분기 동안 검색 부문에도 AI를 적극 도입하며 AI 브리핑 확대 및 주제 지면 피드화를 진행하였는데요. 이 결과에 따라 롱테일 쿼리 수 및 모바일 체류 시간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하반기에 광고 부문에서는 내부 지면을 넘어 외부 지면까지 광고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며, 검색 부문에서는 통합 검색 개편을 통해 이용자 맞춤형 검색 결과 제공에 힘쓸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커머스 부문에서는 컬리와 제휴해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내에 '컬리 앤 마트'를 오픈해 앱 활성화를 추진하고, 연내 구매자를 위한 쇼핑 AI 에이전트를 선보일 계획입니다. 네이버는 계속해서 온서비스 AI 전략을 구사하며 하반기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카카오 2025년 2분기 역대 최대 실적...하반기 카카오톡 개편 예고

카카오2분기실적

카카오는 2025년 2분기 매출 2조 283억 원, 영업이익 1,85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 39% 성장했습니다. 그룹 차원의 비용 효율화와 더불어 주요 플랫폼 사업의 고른 성장이 실적을 견인했는데요. 광고 부문에서는 비즈니스 메시지 상품의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하였습니다.

하반기에는 카카오톡 서비스의 대대적인 개편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카카오톡 5개 탭 전반의 서비스가 바뀌는 것인데요. 첫번째 탭(친구 탭)은 피드 기반의 일상 콘텐츠 공간으로 진화하고, 세번째 탭(오픈채팅 탭)은 숏폼 콘텐츠 공간으로 변화할 전망입니다. 이에 맞춰 신규 광고 상품도 함께 출시되어 피드형 및 동영상 광고를 통해 타깃 맥락에 맞는 자연스러운 광고 경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카카오는 이를 기반으로 4분기 톡비즈 광고 매출을 전년 대비 10% 이상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번 대변화가 하반기 새로운 도약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원문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8월 디지털 미디어 마켓 이슈 | 케이티 나스미디어 - kt nasmedia

네이버 2025년 2분기 매출 3조원 육박…하반기 AI 경쟁력 강화 예정 카카오 카카오톡 개편 예고 OTT 플랫폼, 숏폼과 미드폼 콘텐츠를 도입하며 멀티포맷 전략 전개 네이버웹툰, 숏폼 서비스 ‘컷츠

www.nas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