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0월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릴스 중심 모바일 홈 화면 개편 테스트
인스타그램이 ‘릴스 중심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모바일 UI 개편을 테스트 중입니다.
이번 테스트는 한국과 인도 등 숏폼 소비가 활발한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용자의 취향과 관심사에 맞춘 숏폼 콘텐츠 노출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팔로잉 기반의 피드 게시물이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이용자가 앱을 열자마자 릴스 중심의 콘텐츠 경험을 하도록 구조가 재편되고 있습니다. 즉, 인스타그램은 ‘친구들의 게시물’보다 ‘관심사 기반 콘텐츠’를 우선 보여주는 플랫폼으로 이동 중인 셈이죠.
🧭 세부 변화 내용

1️⃣ 홈 탭 → 릴스 중심 전환
- 앱 실행 시 릴스 콘텐츠가 가장 먼저 노출되며, 스토리는 기존처럼 홈 화면 상단에 유지됩니다.
- 피드 기반의 홈 화면이 릴스 중심 구조로 완전히 전환됩니다.
2️⃣ DM 탭 위치 및 접근성 강화
- 두번째 탭에 DM(메시지)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 홈, 릴스, 팔로잉, 검색 탭 사이에 배치돼 콘텐츠 감상 중에도 빠르게 대화로 전환할 수 있는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 인스타그램이 ‘콘텐츠 소비 + 실시간 소통’ 병행 경험을 강화하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3️⃣ 팔로잉 탭에서 피드 게시물 분리
- 팔로잉 탭 내부에서 게시물이 ‘모두(팔로우한 계정 전체)’, ‘친구(맞팔로우 계정)’, ‘최근(최신 게시물)’ 3가지로 구분됩니다.
- 이용자가 피드를 더 세밀하게 탐색하고, 원하는 관계 중심의 게시물만 선택적으로 볼 수 있게 됩니다.
🔄 개편 방향과 의미
새로운 홈 화면 적용 여부는 이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완전한 일방향 변화가 아닌, 사용자 주도적 개편 경험을 설계함으로써 UI 변화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이용자 피드백을 수용하려는 접근입니다.
이번 개편을 통해 인스타그램은 콘텐츠 중심 플랫폼에서 ‘경험 중심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릴스를 통해 '발견'의 경험을 강화하고, DM을 통해 '소통'을 가속화하며, 피드 세분화를 통해 '관계 유지'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개인연결 경험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이번 이슈 총 정리
- 인스타그램이 릴스 중심 홈 화면 UI를 테스트하며 숏폼 콘텐츠 노출을 강화
- DM 탭 강화와 피드 세분화(모두·친구·최근)로 소통과 탐색 경험을 개선
- 이용자 선택형 개편을 통해 콘텐츠 중심 플랫폼에서 경험 중심 플랫폼으로 진화
원문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2025년 10월 디지털 미디어 및 시장 이슈 | 케이티 나스미디어 - kt nasmedia
카카오,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인스타그램, 릴스 중심 모바일 홈 화면 개편 테스트 토스 VS. 네이버,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 경쟁 본격화 오픈AI, 대화형 챗봇 넘어 ‘
www.nasmedia.co.kr
'디지털 미디어 이슈 > 미디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픈AI, 이제 대화에서 결제·앱 연동·영상 SNS까지? AI 플랫폼으로 진화 중! (0) | 2025.10.28 |
|---|---|
| 구글 'AI 모드' 한국어 버전 정식 출시, '키워드 검색'의 시대는 이제 안녕! (0) | 2025.09.24 |
| 내가 키우는 신진 크리에이터! 유튜브가 '인급동' 없애고 '하이프(hype)' 띄운 이유 (0) | 2025.09.23 |
| 네이버도 '인스타화' 된다? 네이버가 '클립 프로필'로 노리는 것은 (1) | 2025.09.22 |
| 2025년 8월 - 시청자 입맛 맞춰 변화하는 OTT...숏드라마, 요일별 미드폼까지 (0) | 202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