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미디어 이슈/미디어 이슈

오픈AI, 이제 대화에서 결제·앱 연동·영상 SNS까지? AI 플랫폼으로 진화 중!

2025. 10. 28.

오픈ai 소라, openai sora

2025년 10월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오픈AI, ‘대화형 챗봇’에서 ‘플랫폼 기업’으로

요즘 오픈AI의 움직임을 보면 더 이상 ‘챗GPT 만드는 회사’로만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2025년 상반기 오픈AI의 매출은 약 43억 달러(한화 약 6조 원)에 달했으며, 연간 매출 목표는 무려 130억 달러(한화 약 18조 원)라고 합니다. 불과 2년 전까지만 해도 챗GPT의 구독료와 기업용 API 판매가 주 수익원이었던 점을 생각하면 정말 빠른 성장세죠.

이제 오픈AI는 챗GPT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화형 AI를 중심에 두되, 그 주변에 결제·쇼핑·콘텐츠·SNS 기능을 덧붙이는 전략을 통해 ‘하나의 플랫폼 기업’으로 확장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어요. AI 연구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함께, 새로운 수익 구조를 만들어가려는 본격적인 변화의 단계인 셈입니다.

 

챗GPT 안에서 바로 결제하고, 외부 앱과 연결되는 세상

최근 오픈AI는 챗GPT에 즉시결제 기능을 도입하면서 또 한 번의 큰 변화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사용자는 챗GPT 대화창 안에서 바로 제품을 검색하고 결제까지 할 수 있어요. 미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스트라이프(Stripe)나 쇼피파이(Shopify)를 시작으로, 캐나다 등 다른 지역의 상거래 플랫폼에도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로써 챗GPT는 ‘AI 비서’의 역할을 넘어, 실제 상거래를 유도하는 쇼핑 채널로 진화하고 있죠.

또 한가지 주목할 변화는 외부 앱 연동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챗GPT 대화 도중 지도 앱을 불러 길찾기를 하거나, 스포티파이에서 음악을 바로 재생하는 방식이에요. 챗GPT가 다른 앱을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앱 허브’ 역할을 맡게 되면서, 앞으로는 스마트폰의 홈 화면 대신 챗GPT 하나로 대부분의 기능을 해결하는 미래가 곧 열릴지도 몰라요.

 

영상·SNS로의 확장, 오픈AI 비장의 무기 ‘소라(Sora)’

텍스트 기반 대화에서 벗어나 영상 중심의 AI 서비스로 확장하려는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픈AI는 최근 AI 영상 생성 SNS 앱 ‘소라(Sora)’를 공개했어요. 사용자가 텍스트로 명령을 입력하면, AI가 그에 맞는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해주고 SNS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현재 iOS 버전이 먼저 출시되었으며, 안드로이드 버전도 곧 공개될 예정이에요. 단순한 영상 제작 툴을 넘어, 사용자 간 콘텐츠 공유를 중심으로 한 SNS 생태계 구축이 목표로 보입니다.


결국 오픈AI는 챗GPT로 시작한 대화형 서비스의 성공을 발판 삼아, 결제·앱·영상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AI 서비스 네트워크를 완성해가고 있습니다. 이 모든 확장은 단순히 기술 실험이 아니라, 광고·구독·콘텐츠 거래 등 다양한 수익 모델 다각화 전략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 이번 이슈 총 정리

  • 오픈AI는 최근 생성형 AI 기술을 다양한 서비스 영역에 접목하며 새로운 수익 모델 구축 시도 
  • 챗GPT 내 결제 기능을 도입하며 상거래 영역으로 확장 본격화을 본격화하는 동시에
    외부 앱 연동 기능을 개방해 챗GPT를 앱 허브 형태의 플랫폼으로 전환 중
  • AI 영상 생성 SNS ‘소라(Sora)’를 공개하며 텍스트 중심에서 영상 기반 생태계로도 외연 확장
  • 이번 행보는 오픈AI가 대화형 AI 기업을 넘어 AI 통합 플랫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적 변화

원문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2025년 10월 디지털 미디어 및 시장 이슈 | 케이티 나스미디어 - kt nasmedia

카카오,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인스타그램, 릴스 중심 모바일 홈 화면 개편 테스트 토스 VS. 네이버,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 경쟁 본격화 오픈AI, 대화형 챗봇 넘어 ‘

www.nas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