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핫플레이스 탐색, 유튜브에서 시작?
어딘가 방문하기 전, 유튜브로 장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해 본 경험, 있지 않으신가요? '성수 팝업', '더현대 맛집', '강남역 혼밥' 처럼 특정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검색과 영상 시청이 일상적인 탐색 과정이 되었죠.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유튜브가 성수·홍대·여의도·강남 등 핫플레이스 중심 소비 트렌드에 주목해 2025 Peak Places 패키지를 출시했습니다.
핫플레이스 탐방은 이제 하나의 여가 문화로 자리잡으며 오프라인 방문과 동시에 온라인 콘텐츠 소비가 함께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실제로 2025년 상반기 기준, '성수동' 관련 Youtube 검색량은 2022년부터 연평균 40.6% 올랐고, 성수역 하차객으로 본 유동 인구 역시 연평균 10.1%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출처: 구글 Peak Places 패키지 소개서) 이는 '성수 놀거리', '여의도 맛집', '강남 카페' 등 지역 키워드를 중심으로 유튜브가 오프라인 소비 맥락 속에서 중요한 탐색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죠.
🔥 '핫플을 향한 관심'을 포착하다
유튜브의 'Peak Places 패키지'는 핫플레이스를 방문하려는 사용자, 혹은 핫플레이스 관련 콘텐츠를 시청하는 순간을 '키워드 팩'을 통해 타겟팅하는 패키지입니다.

디멘드젠(Demand Gen) 캠페인과 쇼츠(Shorts) 캠페인으로 구성되며, 각각 전환 확보(트래픽, 예약 유도)와 브랜딩 중심(인지도, 고려도 제고) 목적에 맞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는 팝업 스토어나 예약 페이지 운영 시 디멘드젠을, 오프라인 이벤트, 브이로그, 리뷰 등과 연계 시 쇼츠를 활용해 특정 지역 방문자 대상으로 브랜드 고려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유튜브는 성수 · 홍대/합정/연남/상수 · 여의도/더현대 · 명동 · 삼성/코엑스 · 강남역 등 6대 상권을 중심으로 핫플레이스 키워드 팩을 제공하는데요. '성수 팝업', '연남동 데이트', '코엑스 전시회', 등 지역 관련 키워드로 검색하거나 콘텐츠를 시청하는 순간을 타겟팅해 광고를 노출할 수 있습니다.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지역 탐색형 소비가 늘어나는 가운데, 유튜브의 Peak Places 패키지를 통해서 디지털과 로컬이 만나는 접점에서 브랜드 존재감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이번 이슈 총 정리
- 핫플레이스 중심의 소비 트렌드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온라인 탐색 > 오프라인 방문 > 후기 콘텐츠 재생산으로 이어지는 순환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유튜브의 Peak Places 패키지는 이용자가 특정 장소 방문 전, 온라인에서 정보를 탐색하는 첫 단계를 선점하는 전략으로, 브랜드가 소비자의 발길이 향하는 곳에 먼저 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원문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10월 디지털 광고 상품 이슈 | 케이티 나스미디어 - kt nasmedia
YouTube 2025 Peak Places 패키지 출시 카카오톡 서비스 개편에 따른 신규 광고 지면 안내 토스, 모먼트 배너 세로형 영상 소재 지원 메타 어드밴티지+ 크리에이티브 새로운 기능 ‘AI CTA 스티커’ 추가
www.nasmedia.co.kr
'디지털 미디어 이슈 > 광고 상품 업데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10월 - 유튜브 'Peak Places 패키지' 출시, 카카오톡 신규 광고 지면 출시 외 (0) | 2025.10.27 |
|---|---|
| 카카오톡 서비스 개편, 광고 지면에서 달라진 점은? (0) | 2025.10.27 |
| 2025년 9월- 네이버 통합 광고주센터 오픈 외 (2) | 2025.09.22 |
| 2025년 8월 - 메타 파트너십 광고 기능 확대 외 (1) | 2025.08.28 |
| 2025년 7월 - 메타, 스레드 피드 광고 업데이트 외 (6)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