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S INSIGHT/트렌드&이슈 아티클

[2025 업종 트렌드] '뷰티 맛집' 된 다이소와 편의점, 화장품 업계의 대응은?

2025. 8. 14.

화장품트렌드


2025년 주요 업종 트렌드 - 2. 화장품

· 📊 2025 화장품 시장 규모 전망
· 💄 수출효자 K뷰티
· ⬆️ 고기능성 성분 유행
· 🛍️ '뷰티 맛집'된 다이소와 편의점


📊 2025년 화장품 시장 규모 전망은?

데이터출처: 유로모니터, 삼일PwC경영연구원, 하나금융투자

2025년 국내 화장품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년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는 약 13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광객 증가에 힘입어 화장품 판매 실적 또한 회복세가 예상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유통 방식의 변화인데요, 과거에는 브랜드가 직접 유통을 담당하거나 생산을 겸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브랜드와 유통이 분리되고 생산은 ODM(제조자 개발 생산) 업체에 맡기는 방식으로 진입 장벽이 크게 낮아졌습니다. 이는 제품 런칭과 리뉴얼 기간을 단축시키고, H&B 스토어와 온라인 채널이 급부상하는 계기가 되었죠. 오프라인 매장 없이도 브랜드를 전개할 수 있게 되면서 시장은 더 다양한 브랜드로 파편화되고 있습니다.

 

💄 수출 효자, K뷰티

2024년, 화장품 수출액은 사상 최초로 100억 달러를 돌파했어요. 북미, 일본, 유럽 등 중국 외의 국가에서 수출이 증가하며 중국 의존도를 낮춘 것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5년에는 무려 113억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한국은 이제 프랑스에 이어 세계 2위 화장품 수출국으로 부상했는데요, 인디 브랜드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끌며 한국 화장품의 위상은 점점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 성분을 따지는 똑똑한 소비자들의 등장, 고기능성 성분 유행

최근 화장품 시장의 가장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는 바로 '성분 중시' 소비 트렌드의 확산입니다. 제품의 성분부터 사용 후기까지 꼼꼼히 살펴보는 '체크슈머' 트렌드가 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고, 성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이 늘어나며 성분에 대한 관심을 넘어 전문적 지식을 갖춘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거예요. 소비자들은 화장품 구입 시 제품의 기능성, 가격 대비 성능, 그리고 성분의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습니다.

2024년 하반기에는 PDRN(피부 재생 성분), 지방산,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등의 성분이 올리브영에서 주목받았고 레티놀, 히알루로닉, 비타민C 세럼, 마데카 크림 등 특정 성분을 포함한 검색어 검색량이 크게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정보 접근성 향상과 건강, 웰니스에 대한 관심 증가, 그리고 브랜드들의 투명성 강화에 힙입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제 소비자들은 단순한 브랜드 이미지보다는 제품의 '효능'과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는 스마트한 소비를 하고 있는 것이죠.

 

🛍️ '뷰티 맛집' 된 다이소와 편의점, 화장품 업계의 대응은?

이미지출처: 다이소

화장품 구매 채널 역시 급변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채널의 강세는 여전하지만, 최근에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화장품 시장의 새로운 강자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바로 '다이소'와 '편의점'입니다. 이들은 높은 접근성과 합리적인 가격대를 강점으로 새로운 화장품 판매 채널로 부상했는데요. 화장품 업계는 이에 맞추어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가성비'가 무엇보다 큰 강점인 다이소. 화장품 업체들은 다이소 전용 브랜드를 출시하며 브랜드의 다각화 채널로 다이소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더샘, 토니모리, 에뛰드 등 우리에게 익숙한 과거 로드샵 브랜드들은 다이소에서 저렴한 버전의 서브 브랜드를 출시하며 소비자를 만나고 있습니다. 더샘은 '드롭비', 토니모리는 '본셉', 에뛰드는 'Play 101'이라는 이름으로 말이죠. 이외에도 투쿨포스쿨의 '태그', 어퓨의 '더퓨어 캔디'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다이소 전용 브랜드와 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편의점 역시 새로운 유통 채널로 떠올랐는데요. 과거에 편의점에서 화장품을 산다는 것은, 다소 시간 여유가 없거나 여행을 갔을때 급하게 구매하는 등 긴급/일회성 구매의 목적이 많았죠. 편의점에서 구매하는 화장품도 립밤, 클렌징 티슈 정도였고요. 하지만 요즘은 마스크팩, 스킨, 로션 등 피부 개선이나 관리의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편의점에서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어났습니다. 화장품 업계도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편의점용 소용량/소포장 제품, 파우치형 제품을 활발히 출시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