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디지털 미디어 & 마켓 이슈
월간 디지털 미디어와 시장의 주요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넷플릭스는 네이버·SBS 손잡고, 티빙·쿠팡플레이는 글로벌 OTT 제휴 확대
요즘 OTT 시장의 전략 키워드는 '제휴'라 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2024년 11월, 네이버의 멤버십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과 손을 잡았습니다. 제휴 이후 12월, 넷플릭스 MAU가 20% 증가하기도 했는데요. 넷플릭스는 네이버 멤버십 이용자에게 넷플릭스 광고형 요금제 이용권을 제공하며 국내 광고형 요금제의 가입 경로를 늘리고자 했습니다. 넷플릭스는 여기에 SBS와의 제휴를 통해 SBS의 인기 콘텐츠를 추가하며 콘텐츠 라인업을 넓히고 일상적인 시청 패턴 강화에 힘쓰는 모습입니다. OTT 경쟁이 이제 콘텐츠 자체보다 어떻게 더 쉽게 접근시키고, 자주 보게 하느냐로 변하고 있는 거예요.
티빙과 쿠팡플레이도 움직이고 있습니다. 두 플랫폼 모두 글로벌 OTT와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자체 경쟁력을 높이고 있죠. 티빙은 지난 2024년 11월 애플TV+ 브랜드관을 오픈해, 프리미엄 요금제 가입자를 대상으로 애플TV+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쿠팡플레이 또한 파라마운트+와 손잡았는데요. 옐로우스톤, 헤일로 등 인기 드라마/시리즈와 최신 영화를 서비스한다고 해요.
이전에는 오리지널 콘텐츠나 독점 콘텐츠가 OTT 시장의 핵심 전략이었죠.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조금 달라진 모습입니다. 단순히 자체 콘텐츠 만으로는 가입자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드러나면서, 수익성 확보와 이용자 저변 확대를 위한 제휴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는 거예요. 다양한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가입 경로를 늘리고 콘텐츠 라인업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은 2025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보여요.
CES 2025, 일상 속으로 들어온 AI와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 예고
2025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는 한마디로 AI와 로봇이 '미래 기술'이 아닌 '일상 기술'이 되어가는 흐름을 보여주는 자리였습니다. '몰입(DIVE IN)'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역대 최다인 약 1,000개 한국 기업을 포함해 전 세계 4,800여 개 기업이 참가했어요. 지난 CES 2024가 AI의 기술적 가능성을 보여줬다면, 올해 CES는 AI가 실생활에 얼마나 깊숙이 들어왔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비즈니스 모델과 연결되고 있는지에 집중한 게 특징입니다.
특히 눈에 띄는 건 휴머노이드 로봇과 일상형 AI 서비스였습니다. 제조나 물류 같은 산업 현장에 국한되었던 로봇이, 이제는 가정과 매장 등 생활 공간으로 들어오고 있고 AI 역시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으로 경험을 바꾸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CES 2025를 통해 AI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홈, 디지털 동반 로봇 서비스 등의 상용화 가능성을 더 크게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앞으로는 'AI가 없는 일상'이 더 어색해질지도 모르겠어요.
원문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
2025년 1월 디지털 미디어 및 마케팅 이슈 | 케이티 나스미디어 - kt nasmedia
네이버 숏텐츠 탭 신설, 카카오톡 AI 기능 확대, 카카오 AI쇼핑메이트, 인스타그램 10대 계정, 인스타그램 청소년 계정, OTT 전략적 제휴 확대, CES2025 요약
www.nasmedia.co.kr
*2025년 1월에 작성된 글입니다.
'디지털 미디어 이슈 > 마켓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 '역대급 인기' 맞은 KBO, 프로야구 마케팅도 성황 (0) | 2025.08.27 |
---|---|
2025년 5월 - 이제 쿠팡 와우 멤버십 안 써도 쿠팡플레이 무료로 볼 수 있다고요? (0) | 2025.08.26 |
2025년 4월 - 챗GPT-4o 이미지 생성, 이제 누구나 가능! 멀티모달 AI가 대체 뭐길래? (1) | 2025.08.26 |
2025년 3월 - 편의점에서 무신사 제품을 살 수 있다고? (0) | 2025.08.21 |
7조 9천억원 규모 팬덤 시장은 못 참지, 카카오엔터 '베리즈' 출시한다 (0)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