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 간의 디지털 미디어와 마케팅 관련 주요 뉴스를 모아 전해드립니다.

#디지털미디어
스레드, 국내 MAU 540 돌파…‘반말·라이팅힙’ 열풍 속 X 추격
메타의 텍스트 기반 SNS 스레드가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 540만명을 돌파하며 1년 새 180% 성장, 반말 문화와 라이팅힙 유행을 기반으로 20~30대 중심 확산세를 보이며 X를 턱밑까지 추격 중인 상황으로 분석
🔗“요즘 20대 이걸 왜 써?” 무시했는데…순식간에 540만명 ‘우르르’ 몰렸다
네이버·카카오, 2분기 실적 발표...하반기 양사 AI 플랫폼 전략 본격 가동 예정
네이버는 서치 플랫폼, 커머스 등 주요 사업의 견조한 성장으로 2분기 매출과 영업익 모두 두 자릿수 성장률 기록, 카카오는 전사적 비용 최적화의 결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돼 역성장을 끊고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네이버 역대 최대 2분기⋯매출 2조9151억·영업익 5216억원
🔗카카오, 역대 분기 최대 실적 달성…콘텐츠는 부진, 플랫폼은 성장
네이버앱 두 번째 탭 ‘투데이’로 개편…관심사 기반 탐색 강화
네이버가 앱의 기존 콘텐츠 탭을 ‘투데이’ 탭으로 개편해 패션·여행·경제 등 6개 카테고리별 큐레이션과 개인화 추천을 강화. 실시간 인기 콘텐츠와 BEST 클립, 인기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모아 관심사별 탐색 경험을 확장하려는 전략
🔗네이버앱 두 번째 탭, ‘투데이’로 바뀐다…"관심사 기반 탐색 강화"
틱톡, 부킹닷컴 제휴로 호텔 예약 기능 도입…‘틱톡 고’로 인플루언서 수익 강화
틱톡이 부킹닷컴과 제휴해 앱 내에서 호텔 검색·예약이 가능한 기능을 선보이며 여행 플랫폼으로 영역을 확장, 여행 크리에이터들이 호텔·레스토랑 홍보로 커미션이나 바우처를 얻을 수 있는 ‘틱톡 고’ 프로그램을 도입해 인플루언서 수익 모델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 중
🔗틱톡, 호텔 예약까지 가능해진다…인플루언서 수익 모델도 강화
세대별 앱 사용 뚜렷한 차이…30대 이하 유튜브, 40대 이상 카톡 1위
모바일인덱스 조사에 따르면 10~30대는 유튜브가 사용량 1위를 차지한 반면, 40대 이상 세대에서는 카카오톡이 가장 많이 쓰이는 앱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 유튜브·네이버·카카오톡이 상위권을 차지했지만 세대별 순위는 뚜렷하게 갈리는 양상
🔗30대 이하선 유튜브, 40대부턴 카톡…앱 사용 '세대차'
#OTT
디즈니플러스, 아시아 8개국서 주 5일 미드폼 예능 시리즈 ‘주간오락장’ 공개
디즈니플러스가 8월 22일부터 매주 금요일부터 화요일까지 오전 8시, 요일별 다른 콘셉트의 예능을 선보이는 미드폼 시리즈 ‘주간오락장’을 공개. 회당 25~30분 분량으로 숏폼과 전통 예능 사이 틈새를 공략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8개국에서 연말까지 방영되며, 플랫폼의 콘텐츠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 일환으로 기획
🔗디즈니플러스, 주 5일 미드폼 예능 시리즈 공개
국내 OTT MAU 증가세…쿠팡플레이만 하락세 기록
지난달 국내 OTT 이용자수가 전반적으로 늘며 넷플릭스가 1480만 명으로 1위를 유지하고 티빙과 웨이브도 상승세를 보였으나, 쿠팡플레이만 MAU가 1% 감소. 오징어게임3와 케이팝데몬헌터스 흥행에도 넷플릭스 증가폭은 제한적이었으며, 쿠팡플레이는 콘텐츠 부족과 스포츠 중계 유료화 논란이 발목을 잡은 반면 티빙은 웨이브와의 더블이용권 시너지 효과로 입지를 강화하는 모습
🔗전체 OTT 이용자수 늘었는데…쿠팡플레이만 '주춤'
#AI
오픈AI, GPT-5 공개…무료 이용자까지 추론 모델 개방
오픈AI가 차세대 언어 모델 GPT-5를 발표하며 무료 이용자까지 추론 기능을 개방, 한국어 평가 지표인 KMMLU에서 전문가 수준을 뛰어넘는 성능을 기록. GPT-5는 환각 최소화와 안전한 응답 기능을 강화하고 코딩·헬스케어·글쓰기 등 전방위 업그레이드를 통해 정확성·신뢰성을 높였으며, 구독 티어별 차등 제공으로 글로벌 접근성을 확대하려는 전략
🔗오픈AI, ‘GPT-5’ 전격 공개…무료 이용자까지 추론 모델 개방
“2026년 광고 40% AI 제작”…광고 산업 뒤흔드는 생성형 AI 확산
구글·어도비 등 빅테크가 자동 광고 생성 도구를 강화하며 광고 제작비와 기간을 크게 단축, 2026년엔 전체 광고의 40%가 AI로 제작될 전망. 국내외 기업들은 이미 AI 활용 광고를 잇달아 선보이고 있으며 제작 효율성은 높아졌지만 소비자들은 진정성과 신뢰성 부족, 가상 모델 활용에 따른 불쾌감 등을 지적해 제도적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
🔗“2026년 광고 40%가 AI로 제작”… 광고판 접수하는 빅테크 생성형 AI
'디지털 미디어 이슈 > 뉴스클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8월 18일주 뉴스클리핑 (2) | 2025.08.28 |
---|---|
2025년 8월 11일주 뉴스클리핑 (4) | 2025.08.28 |
2025년 7월 28일주 뉴스클리핑 (4) | 2025.08.27 |
2025년 7월 21일주 뉴스클리핑 (5) | 2025.08.27 |
2025년 7월 14일주 뉴스클리핑 (2)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