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미디어 이슈/뉴스클리핑

2025년 11월 17일주 뉴스클리핑

2025. 11. 24.

한 주 간의 디지털 미디어와 마케팅 관련 주요 뉴스를 모아 전해드립니다.

#디지털미디어

카카오맵, ‘친구위치’ 무제한 공유 도입…편리성·사생활 침해 논란 공존

카카오가 카카오톡 기반 ‘친구위치’ 기능을 업데이트해 기존 1시간 제한을 없애고 무제한 실시간 공유를 지원하면서 이용자 반응이 편리함과 사생활 침해 우려로 갈림. 기능 실행에는 당사자 동의가 필수이며 14세 미만은 부모 동의가 필요하고, 원치 않을 경우 위치 숨기기·공유 중단이 가능. 카카오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서비스 보완을 이어가겠다고 밝힘
🔗카카오맵 친구 위치공유 서비스 도입에 사용자들 반응 엇갈려

구글, 차세대 ‘제미나이3’ 공개…출시 첫날부터 검색에 전면 배치

구글이 신형 AI 모델 제미나이3를 공개하고 출시 즉시 검색 서비스에 적용하며 AI 중심 전략 전환을 본격화. 미국에서 먼저 적용되며, 한국 등 다른 국가로도 순차 적용 예정
🔗구글, 차세대 '제미나이3' 공개…출시 첫날부터 검색에 배치

구글, AI 모드에 여행 계획 기능 추가…항공·호텔·일정 자동 구성

구글이 AI 검색 ‘AI 모드’에 여행 계획 기능을 도입해 항공편·호텔·맛집·동선 등을 자동 구성하는 맞춤 일정 생성 서비스를 출시함. 자연어로 조건을 입력하면 실시간 운임 데이터와 지도 정보를 결합해 최적의 일정과 특가 항공편을 추천하며, 예약 연동 기능도 미국을 중심으로 확대 중
🔗"3박4일 동해 여행 일정 짜줘"…구글, AI 모드에 '여행 계획' 추가

유튜브, 6년 만에 DM 기능 테스트…영상 공유 방식 변화 주목

유튜브가 2019년 폐지했던 다이렉트 메시지(DM)를 아일랜드·폴란드 이용자 대상으로 재도입 테스트하며 플랫폼 내 영상 공유 방식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임. 과거에는 비활성화로 중단됐으나 이번 복귀로 외부 플랫폼을 거치지 않는 직접 공유 흐름이 강화될 가능성이 제기됨
🔗유튜브, 6년 만에 DM 기능 테스트…영상 공유 방식 변화할까

호주, 16세 미만 SNS 전면 금지 시행…메타 계정 비활성화 착수

호주가 청소년 SNS 금지법을 본격 시행하면서 메타는 호주 내 16세 미만 페이스북·인스타그램·스레드 계정을 다음 달 4일부터 순차적으로 비활성화하기로 함. 약 50만 명 규모의 기존 계정은 저장 후 만 16세가 되면 본인 인증을 거쳐 복구할 수 있으며, 정부는 위반 기업에 최대 5천만 호주달러 벌금을 부과할 예정
🔗"16세 미만은 계정 폐쇄"…호주 'SNS 금지법' 본격 시행

네이버밴드, 미국 MAU 710만 돌파…11년 만에 폭풍 성장

네이버밴드가 미국 진출 11년 만에 월간활성사용자수(MAU) 710만명을 기록하며 매년 100만명 이상 증가하는 성장세를 이어감. 방과후 활동 그룹에서 시작해 워크플레이스·대학교·지역 커뮤니티 등 다양한 그룹으로 확장하며 ‘그룹 관리 도구’ 중심 기능 강화와 UI·UX 재단장이 성공 요인으로 평가됨. 네이버는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글로벌 서비스 완성도를 지속적으로 높일 계획
🔗美서 폭풍 성장하는 네이버밴드…진출 11년만에 710만 가입자 돌파

카카오톡, ‘친구탭’ 결국 원상복구…12월 중 기존 목록 화면으로 돌아간다

카카오톡이 9월 도입했던 격자형 피드 기반 친구탭이 이용자 혹평과 롤백 요구로 이어지자, 다음 달 기존 ‘친구 목록’ 중심 첫 화면으로 복원하는 업데이트를 진행할 계획
🔗집 나간 '카톡 친구탭' 돌아온다…다음 달 '원상복구'

 

#커머스

올리브영, 내년 5월 미국 1호점 오픈…K뷰티 기반 북미 공략 본격화

올리브영이 2025년 5월 미국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에 1호 매장을 열고 LA 웨스트필드 등으로 순차 확대하며 북미 오프라인 진출을 본격화. K뷰티 선호도와 글로벌몰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 400여 K뷰티 및 글로벌 브랜드를 입점시켜 현지 소비자 관심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 중
🔗올리브영, 미국에 1호 매장 연다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2년 만에 종료…계열사별 새 멤버십 준비

신세계그룹이 6개 계열사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을 올해 종료하고 SSG닷컴 등 각 계열사별 신규 멤버십을 선보일 계획임. 가입률 부진과 혜택 축소가 이어진 가운데 이마트·백화점 중심 계열 분리 가능성도 배경으로 거론되며, 기존 회원 혜택은 1년간 유지됨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접는다…"SSG닷컴 등 새 멤버십 준비"

신세계–알리 합작사 본격 가동…한국 이커머스 ‘다국적 격전지’로 급변

신세계와 알리바바인터내셔널의 합작법인이 이사회 구성 완료와 대규모 판촉 행사로 사업을 본격화하며 국내 이커머스 시장 경쟁이 글로벌 수준으로 격화될 전망임. 지마켓·알리익스프레스 등은 초저가 공세와 공격적 마케팅을 강화했고, 쿠팡·네이버도 물류·신선배송·오픈마켓 사업 확대로 대응 중
🔗신세계-알리 합작사 사업 본격화…각국 격전지 된 韓이커머스

네이버, 中 판매자 입점 일부 완화…패션·뷰티 등 ‘조건부 허용’

네이버가 스마트스토어에서 중국·홍콩 판매자의 패션·뷰티·육아 등 민감 카테고리 입점을 조건부로 허용하며 기존 ‘카테고리 제한’ 정책을 완화함. 다른 플랫폼 판매 이력 증빙과 실제 재고 보유 서류 제출 등 까다로운 심사 기준을 적용해 검증된 판매자만 유치하려는 전략으로, 중국 판매자 유입 시 소비자 선택 폭 확대와 가격 하락 효과가 기대됨. 다만 국내 중소 셀러와의 가격 경쟁 심화 우려도 제기됨
🔗네이버, 中 판매자 입점 제한 완화…패션·뷰티 등 '조건부' 허용

당근, 포장 주문 서비스 확대…배달앱 수수료 틈새 공략

당근이 포장 주문 서비스에 배스킨라빈스·메가커피 등 주요 프랜차이즈를 연이어 입점시키며 수수료 없는 구조를 앞세워 경쟁력을 강화함. 배달앱들이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부과하는 가운데 당근은 이용자 할인 혜택을 확대하며 9월 포장 주문 건수가 전월 대비 두 배 증가하는 성과를 기록
🔗배민·쿠팡 배달앱 경쟁 사이 '당근 포장' 틈새 공략


#결제서비스

네이버페이, 오프라인 통합 단말기 ‘Npay 커넥트’ 정식 출시

네이버페이가 결제·리뷰·쿠폰·주문·적립을 한 번에 처리하는 오프라인 단말기 ‘Npay 커넥트’를 정식 출시하며 전국 확대에 돌입함. 커넥트 설치 매장은 영수증 인증 없이 즉시 키워드 리뷰 확보가 가능하고, 결제 직후 쿠폰 적용·미니 키오스크 주문 등 다양한 기능을 한 기기에서 제공
🔗“결제부터 리뷰·쿠폰·주문·적립까지”...네이버페이, 오프라인 통합 단말기 ‘Npay 커넥트’ 출시

토스 ‘페이스페이’ 가입자 100만 돌파…얼굴 인식 결제 대중화 가속

토스의 얼굴 인식 기반 결제 서비스 ‘페이스페이’가 출시 8개월 만에 가입자 100만명을 돌파하며 전국 가맹점 절반에서 실제 결제가 이뤄지는 등 빠르게 확산 중
🔗토스, ‘페이스페이’ 가입자 100만명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