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미디어 이슈/뉴스클리핑

2025년 10월 27일주 뉴스클리핑

2025. 11. 3.

한 주 간의 디지털 미디어와 마케팅 관련 주요 뉴스를 모아 전해드립니다.

챗gpt포카카오, 카카오오픈ai

#디지털미디어

카카오톡 안에 챗GPT 탑재… ‘챗GPT 포 카카오’로 일상에 AI 더한다

10월 28일, 카카오는 카카오톡에서 챗G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이는 카카오 플랫폼을 오픈AI 기술과 결합한 것으로 채팅탭 상단에 위치한 챗GPT 버튼을 클릭해 서비스 이용 가능, 일상 속 AI 접근성 확대

🔗카톡 안에 챗GPT 탑재…일상에 AI 더한다

네이버, AI로 옥외광고 문턱 낮춘다…‘애드부스트 스크린’ 출시

네이버가 AI 기반 디지털 옥외광고 솔루션 ‘애드부스트 스크린’을 출시, 중소형 사업자도 손쉽게 전광판·영화관·택시 스크린 등 다양한 오프라인 매체에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지원. ‘오토클립 AI’를 통해 영상 비율 자동 최적화와 주 단위 집행 옵션을 제공해 진입 장벽을 낮추고, 향후 지역 밀착형 매체와 타깃팅 기능을 확대할 계획
🔗네이버, AI 기반 디지털 옥외광고 솔루션 '애드부스트 스크린' 출시

카카오톡, ‘카나나’로 일상 속 AI 비서 실험 시작

카카오가 온디바이스 AI 기반 개인 비서 서비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일부 이용자 대상으로 시범 운영, 대화 맥락을 이해해 일정 안내·장소 추천 등 필요한 순간 먼저 제안하는 ‘선톡형 AI’ 기능 실험 진행. 스마트폰 내부에서 작동해 개인정보 전송 없이 활용 가능하며, 이용자 피드백을 거쳐 내년 정식 출시 예정
🔗"가까운 일정이 2개 있네요, 챙겨보세요"⋯카카오톡 속 '나만의 AI 비서' 실험

메타 스레드, 일일 사용자 1억5000만명 돌파…AI·광고 성과 본격화

메타의 SNS ‘스레드(Threads)’가 일일 활성 사용자 1억5000만명을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기록, 마크 저커버그 CEO는 스레드가 카테고리 선두 앱으로 자리잡을 것이라 언급. AI 추천 알고리즘 개선으로 이용 시간 10% 증가했으며, 개인화 추천 기능과 영상 광고 도입 등 수익화 전략도 강화
🔗메타 스레드 하루 사용자 1억5000만명 돌파…광고·AI 개선

스레드, 24시간 후 사라지는 ‘고스트 포스트’ 도입

메타가 스레드에 24시간 후 자동으로 사라지는 게시물 ‘고스트 포스트’ 기능을 도입, 이용자가 부담 없이 즉흥적 생각을 공유하도록 설계. 게시물은 하루 후 보관되며 댓글·좋아요는 본인만 확인 가능, 인스타그램 스토리처럼 ‘순간적 소통’ 경험을 확장해 사적인 대화 중심 플랫폼으로 발전 시도
🔗스레드, 24시간 후 사라지는 ‘고스트 포스트’ 도입


#커머스

새벽배송 규제 논란에 커머스 업계 ‘촉각’…서비스 중단 가능성에 긴장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0~5시 새벽배송 전면 금지 제안이 논의되며 커머스 업계가 긴장, 쿠팡·SSG닷컴·마켓컬리 등 주요 플랫폼이 서비스 중단 가능성에 대비해 모니터링 강화. 정부와 소비자단체가 신중 검토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대형마트는 법적 제약으로 이미 새벽배송이 불가능해 ‘역차별’ 해소 요구 재점화
🔗불 붙은 새벽배송 규제 논란⋯이커머스 긴장ㆍ대형마트 씁쓸

쿠팡 독주에 맞서는 ‘연합전선’…네이버·지마켓, 글로벌 동맹으로 반격

쿠팡이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네이버와 지마켓이 각각 글로벌 제휴를 통한 ‘반(反)쿠팡 동맹’ 구축에 나섬
🔗“쿠팡 독주 막아라”… 지마켓·네이버 ‘글로벌 동맹’으로 추격전

컬리, ‘컬리뷰티페스타 2025’ 성료…파트너 거래액 9배 급증

컬리가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개최한 ‘컬리뷰티페스타 2025’가 1만6000여 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종료, 참여 브랜드 거래액은 전년 대비 평균 9배 상승. AI 피부 진단·디바이스 체험 등 트렌드형 부스와 온·오프라인 연계 구매 인증 이벤트로 브랜드 참여 효과 극대화, 컬리는 큐레이션 중심의 ‘진짜 뷰티 행사’로 정체성 강화 의지 표명
🔗"K-뷰티 날았다"…컬리뷰티페스타 2025, 파트너사 거래액 9배↑

네이버 ‘하이엔드’로 명품 시장 확장…쿠팡 ‘알럭스’와 정면 승부

네이버가 기존 ‘럭셔리’ 서비스를 ‘하이엔드’로 개편, 패션·뷰티에서 리빙·가전까지 명품 카테고리를 확장하며 쿠팡의 ‘알럭스’와 경쟁 본격화. 프리츠한센·드비알레 등 글로벌 하이엔드 브랜드를 공식몰 형태로 입점시켜 정품 보증과 멤버십 적립 혜택을 강화, 쿠팡은 빠른 배송을 앞세운 글로벌 명품 직구 서비스로 맞대응 중이며, e커머스 내 명품 시장 주도권 경쟁이 심화될 전망
🔗'하이엔드' 띄운 네이버, 쿠팡과 명품 승부 겨룬다


#지도앱/모빌리티

네이버·카카오·티맵, ‘진짜 리뷰’ 경쟁…가짜 리뷰 시대 신뢰 확보전

AI 확산으로 가짜 리뷰가 늘자 지도 플랫폼 3사(네이버·카카오·티맵)가 ‘실제 방문 인증 리뷰’ 강화에 나섬. 네이버는 포스기 결제 데이터를 연동하는 ‘플레이스 플러스’ 제휴사를 확대해 영수증 없이 방문 리뷰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카카오는 인증마크 UI 개선과 허위 리뷰 신고 기능을 강화. 티맵은 주행인증 리뷰와 포인트 보상으로 참여를 유도하며 이용자 신뢰 확보와 체류시간 확대를 노림
🔗지도앱 '진짜 리뷰'로 고객 신뢰 높인다

네이버, ‘지도 1위’ 넘어 관광 슈퍼앱으로…인바운드 시장 정조준

네이버가 ‘한국방문의해위원회’에 합류하며 외국인 관광객 대상 ‘관광 슈퍼앱’ 전략을 본격화, 네이버지도를 중심으로 예약·결제 등 자사 서비스와 연동해 여행 전 과정을 플랫폼 내에서 해결하는 생태계 구축 추진
🔗'지도 1위' 네이버, '관광 슈퍼 앱'으로 인바운드 시장 정조준

카카오T, 전면 UI 개편…상황별 이동 맞춤 서비스 강화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앱 UI를 전면 개선, 이동 목적과 상황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개편. ‘이동할 때·운전할 때·해외 갈 때’ 등 상황별 탭과 개인 맞춤형 ‘마이 카탈로그’ 및 추천 카드 기능을 도입해 이용자 경험을 고도화. 단순 택시 호출을 넘어 운전·배송·여행 등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진화 의지 강화
🔗카카오T 앱 UI 전면 개선…사용자 경험 강화

중국 ‘고덕지도’, 카카오T 연동으로 한국 진출 본격화

알리바바 그룹의 지도앱 ‘고덕지도(高德地图)’가 카카오T와 연동해 중국 관광객 대상 국내 영업을 본격화, 한국 내 음식점·병원·뷰티 매장 등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POI 입점 서비스 확대
🔗중국 관광객 90% 이상 이용 지도앱 '고덕지도', 국내 영업 본격화